← 프로필로 돌아가기 ← Back to Profile
|

언론 보도 In the Media

주요 기사 및 공개 토론 기록입니다. A selection of articles and public discussions.

비즈니스포스트· 2017.12.12 BusinessPost· 2017.12.12

온라인 '불편광고' 어떻게 할까, 국회 토론회에서 규제 놓고 맞서 How to Handle 'Disruptive Ads' Online? Regulation Debated at National Assembly Forum

정민하 네이버 이사는 “광고 자체는 불편한 것이 아니며 콘텐츠를 유료로 즐길지 광고를 보면서 무료로 이용할지는 이용자들의 선택의 문제”라며 “현재 방통위가 규제가 필요한 수준의 불편광고를 정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Chung Min-ha, a Policy Director at Naver, argued, "Advertising itself is not the inconvenience. It's a matter of user choice whether to enjoy content by paying for it or to use it for free by watching ads." He added,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CC) is already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level of disruptive advertising that requires regulation.

Article Thumbnail

데일리팜· 2017.02.16 Maeil Daily· 2017.02.16

의료광고 사전심의 의무화 공감…자율심의는 입장차 In the Track B forum, themed 'The Compatibility of Big Data Utiliz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연합뉴스· 2016.07.10 YTN· 2016.07.10

KISA, 제5기 온라인광고분쟁조정위원 위촉 KISA Appoints the 5th Term of the Online Advertising Dispute Mediation Committee

온라인광고분쟁조정위원회는 온라인광고 계약 체결·이행 등과 관련된 당사자간 분쟁을 심의·조정하는 기구로, 2010년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위원회를 통해 성립된 조정은 민법상 화해계약이 되며, 만약 조정이 성립되지 않으면 당사자들이 소송 등 다른 분쟁 해결 방법을 택할 수 있다. 네이버 정민하 실장은 5기 온라인광고분쟁조정위원회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한다.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has appointed the members for the 5th term of the Online Advertising Dispute Mediation Committee, which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10. A mediation established through the committee has the same legal effect as a settlement agreement under the Civil Act. If a mediation is not successful, the parties may then pursue other dispute resolution methods, such as a lawsuit.

전자신문· 2016.06.19 etnews· 2016.06.19

ICT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업 현장형으로 바뀐다 ICT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o Become More Industry-Oriented

CT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업 현장형으로 바뀐다 /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가직무 능력 표준이 기업 수요에 맞게 변한다. 방송통신 분야 NCS 체계도 개편되었으며 MCN,VR, 디지털 마케팅과 관련한 새로운 직업도 포함된다. 이에 정민하 네이버 실장은 “실무 중심 커리큘럼을 위한 표준화 도구로 대학에 산업계 요구가 반영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The NCS framework for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field has also been reorganized to include new job roles related to MCN (Multi-Channel Networks), VR (Virtual Reality), and digital marketing. Regarding this change, Jeong Min-ha, Head of Policy at Naver, commented, "There is a need for university education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industry, and the NCS should serve as a standardized tool for creating practical, hands-on curricula."

머니투데이 · 2016.05.25 Moneytoday · 2016.05.25

서울과기대 IT정책전문대학원, 26일 세미나 개최 SeoulTech Graduate School of IT Policy to Host Seminar on August 26th

이번 세미나에는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술혁신의 환경 속 IT 시대의 국가와 사회, 개인 간 바람직한 관계 정립의 방향 및 현실적인 대안을 논의한다.네이버 정 실장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상배 교수, 지디넷코리아 김 기자가 각 분야에서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술과 프라이버시, 국가 공권력 간 바람직한 관계 방안에 대해 토론한다. The seminar will explore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society, and individuals in the modern IT era, which is being shap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s like Big Data, Cloud Computing,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establishing a desirable framework and finding practical solutions. A panel discussion will feature Naver's Head of Policy, Chung Min-ha; Professor Kim Sang-ba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 reporter from ZDNet Korea. Drawing on their unique experiences and expertise, the panelists will debate the proper balance between technology, privacy, and state authority.

이데일리 · 2015.11.16 edaily · 2015.11.16

한국정보화진흥원, K-ICT 빅데이터센터 2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Hosts Seminar to Commemorate the 2nd Anniversary of the K-ICT Big Data Center

‘빅데이터 트랜드 및 창업성공 전략’을 주제로 진행된 세미나에서는 김이식 KT 상무와 정민하 네이버 실장의 기조연설과 캔디 모바일, 컨시더씨 등 빅데이터 창업 우수사례가 발표됐다. At the seminar, held under the theme of 'Big Data Trends and Successful Startup Strategies,' keynote speeches were delivered by Kim Yi-sik, Executive Director at KT, and Jeong Min-ha, Head of Office at Naver. Additionally, outstanding big data startup success stories, such as those of Candy Mobile and ConsiderC, were presented.

Article Thumbnail

매일일보· 2015.10.09 Maeil Daily· 2015.10.09

‘개방과 공유의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의 양립’ 등 두 가지 주제로 두 개의 포럼이 A와 B트랙으로 나누어 각각 진행되며 B트랙에 정민하 네이버 실장이 토론에 참여한다. In the Track B forum, themed 'The Compatibility of Big Data Utiliz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Jeong Min-ha, Head of Office at Naver, will participate in a discussion panel. She will be joined by Jeong Bu-man, Head of Division at NIA, following presentations by other experts in the field.

아주경제· 2015.04.18 Aju Business Daily · 2015.04.18

[글로벌 ICT 동향] (5) 급성장의 대가 치르는 구글, IT 기술 혁신 위축 우려 목소리도 [Global ICT Trends] (5) Google Pays the Price for Rapid Growth, Amid Concerns of Stifling IT Innovation

국회 토론회에 참석한 정민하 네이버 정책협력실장은 “세계적 IT서비스 산업에 대한 규제완화 추세와 맞지 않는 규제는 자칫 국내 ICT 기업에 대한 역차별로 작용해 국내 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정감사에서는 네이버의 검색시장 점유율이 70%이상인데도 시장 지배적 사업자로 분류되지 않고 있어 책임부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상황 Chung Min-ha, Head of Naver's Policy Cooperation Office, who attended a National Assembly forum, argued, “Regulations that do not align with the global trend of deregulation in the IT service industry could inadvertently act as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domestic ICT companies and stifle the domestic industry.” However, during a parliamentary audit, opinions continue to emerge that accountability needs to be imposed on Naver, as it is not classified as a market-dominant operator despite holding over 70% of the search market share.

디지털타임즈 · 2015.04.12 Digital Times · 2015.04.12

권은희 의원 "ICT 규제 합리화법 조만간 제출" Lawmaker Kwon Eun-hee: "A bill for the rationalization of ICT regulations will be submitted soon

권 의원은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ICT 정책 로드맵 수립 및 이에 근거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마련할 계획" 이라고 언급하였으며 이날 토론회에는 패널로 김경만 미래창조과학부 경쟁정책과 과장, 정민하 네이버 사업정책실 실장, 정재훈 변호사(구글코리아 선임정책자문), 김정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실장이 참석 The panel for the debate included Kim Kyeong-man, Director of the Competition Policy Division at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Chung Min-ha, Head of the Business Policy Office at Naver; Jeong Jae-hoon, Attorney (Senior Policy Counsel at Google Korea); and Kim Jeong-eon, a director at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KISDI)

한국경제신문 · 2015.03.09 The Korea Economic Daily· 2015.03.09

한국광고학회 · 한국광고홍보학회, 13일 첫 공동 세미나 개최 The Korean Advertising Society and the Korean Academy of Advertising & PR to Host First Joint Seminar on the 13th

한국광고학회와 한국광고홍보학회는 한국광고문화회관에서 '광고홍보 생태계의 변화와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첫 공동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The Korean Advertising Society and the Korean Academy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will host their first joint academic seminar on the 13th at 2 PM at the Korea Advertising Culture Center under the theme, "Changes in the Advertising and PR Ecosystem and a Paradigm Shift."

이투데이 · 2014.12.11 etoday · 2014.12.11

포털사 "규제 풀어라" vs. 미래부 "필요한건 남겨야" Portal giants call for deregulation, while Ministry insists on necessary rules.

정민하 네이버정책협력실 실장은 "저작권 규제가 강화되고 제한적 본인확인제와 청소년보호법에 따른 연령과 본인확인 규제로 인해 국내 동영상 시장을 구글의 유튜브에게 내줬다"고 말했다. Chung Min-ha, Naver's Head of Public Policy, stated that the company effectively lost the domestic video market to Google's YouTube due to a combination of stringent local regulations. He cited strengthened copyright laws, the mandatory real-name verification system, and strict age and identity verification requirements under the Youth Protection Act as the primary reasons

파이낸셜뉴스 · 2014.12.11 financial news · 2014.12.11

핀테크·IoT 시장 규제 완화, 필요한 인터넷 규제는 유지 Easing regulations on fintech and IoT markets, maintaining necessary internet regulations

네이버 정민하 정책협력실장도 "규제에 시차적인 문제가 있어 정작 산업이 성장할 때 국내 기업들은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인터넷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규제를 총괄할 컨트롤 타워가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한 방향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lans to ease regulations for new growth industries like fintech and IoT. However, it will maintain existing internet regulations to protect users and prevent market dominance abuse. Industry leaders are calling for a collaborative regulatory body to ensure that these regulations do not stifle innovation.